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를보다 시간입니다. <br> <br>정부가 출산기록은 있지만 출생신고가 안 된 아이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이고 있는데요.<br> <br>그 이후로 베이비박스에는 부모들의 전화가 빗발치고 있다고 합니다. <br> <br>직접 다녀온 전민영 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누겠습니다. <br> <br>Q1. 전 기자, 가 있는 동안 전화가 정말 많이 오던가요?<br><br>저희가 지난달 30일에 베이비박스를 다녀왔는데요. <br> <br>사무실에서는 전화 벨소리가 끊이질 않았습니다.<br><br>베이비박스에 아기를 맡겼던 엄마들의 전화가 계속 걸려오는 건데요, 대부분, 자신들도 경찰 조사나 처벌을 받게 되는 건지, 그 과정에서 신분이 노출 되는 건 아닌지 하는 불안감에 상담을 해오는 겁니다. <br> <br>Q2. 그만큼 베이비박스에 버려진 아이가 많다는 거겠죠?<br> <br>네, 정부 전수조사 대상 기간인 지난 8년 간 베이비박스에 온 아이들은 1400명이 넘습니다.<br><br>제가 갔을 때도 베이비박스에 5명의아이가 보육사와 봉사자의 돌봄을 받고 있었는데요, 베이비박스 측은 지난달에도 12명의 아이가 들어왔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Q3. 베이비박스에 아이를 두고간 엄마들, 어떻게 되나요? <br><br>베이비박스에 아이를 놓고 오는 것도 현행법상 아동 유기에 해당됩니다.<br><br>하지만 최근 법원의 판결을 보면, 유죄가 인정돼도 대부분 집행유예고 무죄로 본 경우도 있었는데요, <br> <br>아이를 다른 데 버리지 않고 베이비박스에 두고 갔다는 건 아동에 대해 보호 의뢰를 한 것이라고 봤기 때문입니다.<br><br>또 아이를 데리고 오는 미혼 여성이 경제적 어려움과 현실적으로 양육하기 힘든 상황이 많다는 점도 정상참작됐습니다. <br> <br>이야기 직접 들어보시죠. <br> <br>[20대 미혼모 A씨] <br>"분유도 한 통밖에 없었던 상황이었어요. 그런 걸 바로 지원받을 수 있을까 해서 주민센터에 연락을 했는데 그런 지원은 없다…. (그래서) 베이비박스에 전화를 한거였거든요." <br> <br>[20대 미혼모 B씨] <br>"남자친구는 아기를 지우는 걸 원했고 저희 부모님은 두 분 다 아프시고 아이 낳을 때까지 아무한테도 말을 못했어요. 병원에 가면 알게 될까 봐…" <br> <br>Q4. 경제적으로든, 환경적으로 정말 양육이 어려웠다는 게 인정돼야 한다는 거죠?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인천 경찰은 어제 지난 2015년 베이비박스에 아이를 두고 온 30대 여성을 입건했는데요. <br> <br>경찰은 여성이 경제적으로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이었는데도 아이를 버렸다고 보고 유기혐의를 적용한 겁니다.<br><br>Q5. 아이들이 버려지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?<br><br>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아동이나 미혼모에 대한 지원이 출생신고 이후에만 가능합니다. <br> <br>원치 않은 임신으로 기록을 남기는 게 두려운 여성들은 아이를 양육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 건데요,<br><br>전문가들은 "어떤 상황이든 산모가 아이를 안전하게 낳고 기를 수 있게하는 응급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><br>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 여전한데다 엄마 혼자 책임지게 되는 상황도 문제라는 게 현장에서 나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[황민숙 / 베이비박스 센터장] <br>"아기 생명을 잘 지켜내서 홀러 키우는 엄마들에 대한 인식도… 주변에 그런 엄마가 있다면 지지해주고 응원해 주고. 아이들, 아빠들이 책임을 진다면은 엄마들이 굳이 여기까지 올까요?" <br> <br>Q6. 또 한 가지 궁금한 게, 출생통보제, 이제 1년 후면 시행되는데 이건 도움이 됩니까? <br><br>출생통보제, 의료기관이 직접 출생사실을 지자체에 통보하는 제도인데요, <br><br>출산 기록을 남기기 두려워하는 엄마들을 병원 밖 출산으로 몰아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, <br><br>아이와 엄마를 위한 보다 촘촘한 사회적 안전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